2017년부터 다년간 전국 기초지자체 및 환경청 등에서 관리하고 있는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토양오염방지 조치명령지역 등 토양오염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필지별 토양오염 이력정보 DB로 구축했습니다.
사업명
- 2024년 전국 토양오염원 및 토양오염 이력정보 자료 구축
사업 목표
- 「토양환경보전법」 제4조의4(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등 조사) 및 제4조의5(토양오염 이력정보의 작성‧관리)에 따른 전국 토양오염원 및 토양오염 이력정보 자료 수집
- 「토양환경보전법」 제4조의3(정보시스템 구축‧운영)에 근거한 토양오염이력관리시스템 제공 기초자료인 토양오염원 및 토양오염 이력정보 DB 구축
사업 주요 내용
- 토양오염 이력정보 필지별 자료수집 및 DB 구축
- 환경부 보유 토양오염조사 자료 수집 및 DB 구축
- 토양오염원 자료수집 및 DB 구축
- 구축 자료의 정보시스템 제공 및 정보공개 등을 위한 지원
사업 성과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이력정보 필지별 자료수집 및 DB 현행화 구축
- 전국 290여개 기초지자체 및 환경청을 대상으로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인허가 및 관리와 관련된 6종의 자료 15,000여 건 수집 및 분석
- 전국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27,000여 개소, 84,000여 필지에 대한 이력정보 DB 현행화 구축
- 토양오염방지 조치명령지역 이력정보 필지별 자료수집 및 DB 현행화 구축
- 전국 290여개 기초지자체 및 환경청을 대상으로 토양오염검사결과, 토양오염신고 등에 따른 조치현황, 토양측정망‧토양오염실태조사결과 및 환경부 오염우려지역 토양조사결과 토양오염우려기준 초과지점 조치현황 관련 700여 건의 자료 수집 및 분석
- 전국 토양오염방지 조치명령지역 4,200여 건, 9,000여 필지에 대한 이력정보 DB 현행화 구축
- 토양오염원 및 토양오염 이력정보 DB 정의서 작성
- 토양오염원 26종, 토양오염 이력정보 4종, 환경부 오염우려지역 토양조사결과 조치현황 등 2종의 총 32종에 대하여 항목별 데이터 속성정보 입력 표준화를 위한 DB 정의서 작성

사업기간
- 2024년 4월 29일부터 2024년 11월 25일까지
발주처
- 한국환경공단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