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제공 플랫폼 개발 4차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저작권을…
환경전문 벤처기업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저작권을…
도시 숲 조성과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2년 4월부터 수행해온 사업입니다. 플랫폼은 대구광역시 중구 지역을 대상으로 2D로 구현했고, 그 중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은 3D로 구현했습니다.
아토피수첩3은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앱으로 아토피, 천식, 비염 환자의 증상정보 입력이 주요기능이며 기상 및 대기질, 실내공기질을 수집하는 서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앱에서 입력한 증상정보 및 실외활동시간 정보와 서버에서 수집한 기온, 습도, 미세먼지…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기반에 근거하여 발생과 미래 배출 전망, 배출저감에 따른 농도변화, 건강 편익 등을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지구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개발합니다. 동북아6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GUIDE-Global 시스템과…
화학물질로 인한 화학사고 발생 시 사고지역 주변 거주민에 대한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과제의 1단계 3차년도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사업기간은 2024년 1월부터 2024년…
기후위기적응플랫폼 활용을 위한 미래 사회경제 전망 분석(2024) 사업을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명여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완료 했습니다.
'데이터 분석 및 분석 플랫폼 개발사업'을 통해, 기존에 구축된 ToxAI 플랫폼의 화학물질정보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AI 모델을 연계하여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 했습니다.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이용실태, 환경 및 수산자원 등에 관한 과학적 조사 자료와 체계적인 관리계획 등을 바탕으로 한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속적인 보전 및 효율적인 관리 요구를 위해서 수산자원보호구역을 전 국민들에게 홍보하여 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당사 환경계획부 환경1팀 김신우대리가 2024년 11월 6일부터 8까지, 부산의 윈덤 그랜드 부산에서 개최한 (사)한국환경보건학회 가을 정기 학술대회에서 포스터 장려상을 수상했습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수행한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제공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