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글로벌(동북아)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1단계 2차년도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기반에 근거하여 발생과 미래 배출 전망, 배출저감에 따른 농도변화, 건강 편익 등을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지구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개발합니다. 동북아6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GUIDE-Global 시스템과…
환경전문 벤처기업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기반에 근거하여 발생과 미래 배출 전망, 배출저감에 따른 농도변화, 건강 편익 등을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지구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개발합니다. 동북아6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GUIDE-Global 시스템과…
화학물질로 인한 화학사고 발생 시 사고지역 주변 거주민에 대한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과제의 1단계 3차년도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사업기간은 2024년 1월부터 2024년…
기후위기적응플랫폼 활용을 위한 미래 사회경제 전망 분석(2024) 사업을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명여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완료 했습니다.
당사에서 개발한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GHGs and air pollutants Unified Information DEsign system)’의 저작권 등록을 마쳤습니다.
2016~2020년에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개발’ 사업으로 개발한 GUID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립환경과학원의 ‘기후변화와 대기질 상호작용 및 통합 방안 연구—기후·대기통합 연구로드맵 작성 지원을 중심으로’ 연구과제의 기후정책 및 대기환경정책에 기반한 대기배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의 '기후위기적응플랫폼 활용을 위한 미래 사회경제 전망 분석(2024) 분석' 사업을 완료 했습니다.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명여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수행한 사업입니다.
시민이 참여, 입력한 제감 더위 정보 공유 시스템을 개발하고 예상모형을 구축, 더위 예상지도를 시각화하는 기능 개발을 마쳤습니다.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개발한 아토피수첩 v3(안드로이드 버전)의 유지보수 사업을 마쳤습니다.
화학물질로 인한 화학사고 발생 시 사고지역 주변 거주민에 대한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과제의 1단계 2차년도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사업기간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