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제공 플랫폼 개발 4차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저작권을…
환경전문 벤처기업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저작권을…
기후위기적응플랫폼 활용을 위한 미래 사회경제 전망 분석(2024) 사업을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명여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완료 했습니다.
관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미규제 토양오염물질에 대하여 토양오염 후보물질 조사 및 감시항목 지정·관리제도 도입을 검토하기 위하여 미규제 토양오염물질 취급현황 기초조사와 취급 지점 주변 토양 시료 채취 분석하는 사업입니다. 귀 사에서는 취급…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이용실태, 환경 및 수산자원 등에 관한 과학적 조사 자료와 체계적인 관리계획 등을 바탕으로 한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속적인 보전 및 효율적인 관리 요구를 위해서 수산자원보호구역을 전 국민들에게 홍보하여 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2017년부터 다년간 전국 기초지자체 및 환경청 등에서 관리하고 있는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토양오염방지 조치명령지역 등 토양오염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필지별 토양오염 이력정보 DB로 구축했습니다.
당사 환경계획부 환경1팀 김신우대리가 2024년 11월 6일부터 8까지, 부산의 윈덤 그랜드 부산에서 개최한 (사)한국환경보건학회 가을 정기 학술대회에서 포스터 장려상을 수상했습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수행한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제공 플랫폼…
소규모 대기배출 사업장은 굴뚝 높이가 낮아 배출 오염물질에 의한 영향이 국지적으로 나타나며, 규모가 작아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소규모 사업장 대기배출원 조사를 통해 사업장과 보유 시설에 대한 기초현황을 조사하고,…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의 '기후위기적응플랫폼 활용을 위한 미래 사회경제 전망 분석(2024) 분석' 사업을 완료 했습니다.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명여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수행한 사업입니다.
소규모 대기배출 사업장은 굴뚝 높이가 낮아 배출 오염물질에 의한 영향이 국지적으로 나타나며, 규모가 작아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소규모 사업장 대기배출원 조사를 통해 사업장과 보유 시설에 대한 기초현황을 조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