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제공 플랫폼 개발 4차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건, 13건의 GIS DB 저작권을…
환경전문 벤처기업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건, 13건의 GIS DB 저작권을…
모델링 기능 갱신, 전환율 모델링 구축, 정책지원시스템 고도화, 대민사이트 포팅, 관리자 기능 및 보고서 기능 추가, 전산 인프라 도입.
공간정보사업 데이터의 안정적인 등록과 시스템의 안정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2012년부터 수행해온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사업 공유 및 관리시스템의 유지관리 사업인 '국가공간정보정책 통합관리 사업'을 수행했습니다.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1단계 1차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유관기관별로 산재되어 있는 토양오염원, 전국 지자체 관리특정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오염시설 및 오염부지의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정보를 통합 구축, 관리하여 부지의 토양오염 이력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조사, 데이터 구축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이용실태, 환경 및 수산자원 등에 관한 과학적 조사 자료와 체계적인 관리계획 등을 바탕으로 한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속적인 보전 및 효율적인 관리 요구를 위해서 수산자원보호구역을 전 국민들에게 홍보하여 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공간정보사업 데이터의 안정적인 등록과 시스템의 안정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2012년부터 수행해온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사업 공유 및 관리시스템의 유지관리 사업인 '국가공간정보정책 통합관리 사업'을 수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