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글로벌(동북아)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1단계 2차년도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기반에 근거하여 발생과 미래 배출 전망, 배출저감에 따른 농도변화, 건강 편익 등을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지구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개발합니다. 동북아6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GUIDE-Global 시스템과…
환경전문 벤처기업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기반에 근거하여 발생과 미래 배출 전망, 배출저감에 따른 농도변화, 건강 편익 등을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지구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개발합니다. 동북아6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GUIDE-Global 시스템과…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2단계 1차년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기반에 근거하여 발생과 미래 배출 전망, 배출저감에 따른 농도변화, 건강 편익 등을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지구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개발합니다. 동북아6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GUIDE-Global 시스템과…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1단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설계 외에 특허등록과 출원 각 1건을 등록했습니다.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1단계 1차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오염부지 위해관리 프로그램 고도화 사업을 완료 했습니다.
한국형 건강 영향 및 취약성 평가 도구 고도화 사업을 마쳤습니다.
한국형 건강 영향 및 취약성 평가 도구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
국내 자료와 대기, 감염병 인자별 건강영향을 기초지자체 단위로 평가하여 정책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형 건강영향 및 취약성 평가도구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