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GUIDE 모델링 시스템의 DB 현행화 및 개선
2016~2020년에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개발’ 사업으로 개발한 GUID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립환경과학원의 ‘기후변화와 대기질 상호작용 및 통합 방안 연구—기후·대기통합 연구로드맵 작성 지원을 중심으로’ 연구과제의 기후정책 및 대기환경정책에 기반한 대기배출…
환경전문 벤처기업
2016~2020년에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개발’ 사업으로 개발한 GUID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립환경과학원의 ‘기후변화와 대기질 상호작용 및 통합 방안 연구—기후·대기통합 연구로드맵 작성 지원을 중심으로’ 연구과제의 기후정책 및 대기환경정책에 기반한 대기배출…
소규모 대기배출 사업장은 굴뚝 높이가 낮아 배출 오염물질에 의한 영향이 국지적으로 나타나며, 규모가 작아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소규모 사업장 대기배출원 조사를 통해 사업장과 보유 시설에 대한 기초현황을 조사하고,…
2022년 4월부터 수행해 온 도시 숲 조성과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 2차년을 마쳤습니다. 대구광역시 중구 지역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 관한 주요 기능과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했습니다.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2단계 1차년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화학물질로 인한 화학사고 발생 시 사고지역 주변 거주민에 대한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과제의 1단계 2차년도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사업기간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이용실태, 환경 및 수산자원 등에 관한 과학적 조사 자료와 체계적인 관리계획 등을 바탕으로 한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속적인 보전 및 효율적인 관리 요구를 위해서 수산자원보호구역을 전 국민들에게 홍보하여 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유관기관별로 산재되어 있는 토양오염원, 전국 지자체 관리특정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오염시설 및 오염부지의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정보를 통합 구축, 관리하여 부지의 토양오염 이력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조사, 데이터 구축
관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미규제 토양오염물질에 대하여 토양오염 후보물질 조사 및 감시항목 지정·관리제도 도입을 검토하기 위하여 미규제 토양오염물질 취급현황 기초조사와 취급 지점 주변 토양 시료 채취 분석하는 사업입니다. 귀 사에서는 취급…
2022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위해성평가 플랫폼 구축사업’과 관련한 8종의 DB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제작자권리등록'을 마쳤습니다.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위해성평가 플랫폼은 위치정보를 이용, 위해성평가와 화학사고 후 피해규모 산정 등의 기능 구축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