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배출원 조사사업 체계도

2023년 소규모 사업장(4,5종) 대기배출원 조사

소규모 대기배출 사업장은 굴뚝 높이가 낮아 배출 오염물질에 의한 영향이 국지적으로 나타나며, 규모가 작아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소규모 사업장 대기배출원 조사를 통해 사업장과 보유 시설에 대한 기초현황을 조사하고, 자가측정 정보, 가동 및 사용량 정보를 수집, 자가측정 및 활동도 기반 배출량을 산정하여 대기환경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생산합니다.

도시 숲 조성과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스템 아키텍처

2023년, 도시숲 조성과 관리를 위한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 2차년

2022년 4월부터 수행해 온 도시 숲 조성과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 2차년을 마쳤습니다. 대구광역시 중구 지역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 관한 주요 기능과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했습니다.

eHeSAP 화면 중 일부 예시

2023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제공 플랫폼 개발 3차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2단계 1차년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저작권을 등록했습니다.

개발 플랫폼 예시 화면 (2024년 12월 기준)

2023년,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 1단계 2차년

화학물질로 인한 화학사고 발생 시 사고지역 주변 거주민에 대한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과제의 1단계 2차년도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사업기간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12개월에 걸처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수산자원보호구역 종합관리시스템

2023년, 수산자원보호구역 종합관리시스템 운영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이용실태, 환경 및 수산자원 등에 관한 과학적 조사 자료와 체계적인 관리계획 등을 바탕으로 한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속적인 보전 및 효율적인 관리 요구를 위해서 수산자원보호구역을 전 국민들에게 홍보하여 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지금까지 조사된 환경, 수산자원 및 양식 등에 관한 조사 결과의 체계적 관리, 수산자원보호구역 이해관계자에게 보호구역 지정구역, 주변환경, 행위제한 현황 등 관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 구축 운영 관리

미규제 토양오염물질 실태조사 및 분석(2023)

관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미규제 토양오염물질에 대하여 토양오염 후보물질 조사 및 감시항목 지정·관리제도 도입을 검토하기 위하여 미규제 토양오염물질 취급현황 기초조사와 취급 지점 주변 토양 시료 채취 분석하는 사업입니다.
귀 사에서는 취급 지점 선정을 위한 56종의 미규제 토양오염물질 취급현황과 취급 사업장 정보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데이터베이스제작자권리 등록증(화학물질 Kow 정보)

데이터베이스제작자권리 8건 등록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위해성평가 플랫폼)

2022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위해성평가 플랫폼 구축사업’과 관련한 8종의 DB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제작자권리등록’을 마쳤습니다.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위해성평가 플랫폼은 위치정보를 이용, 위해성평가와 화학사고 후 피해규모 산정 등의 기능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당사는 총괄 주관기간으로 참여, 2022년 4월부터 약 5년에 걸쳐 사업을 수행할 것입니다.

플랫폼 개념도 및 화면 구성 일부 예시

2022년, 글로벌(동북아)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1단계 1차년도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기반에 근거하여 발생과 미래 배출 전망, 배출저감에 따른 농도변화, 건강 편익 등을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지구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개발합니다. 동북아6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GUIDE-Global 시스템과 국내 지역특성에 기반한 GUIDE-Local 시스템을 활용하여 국제기후변화 관련 IPCC 보고서 등과 국가/지자체 기후변화적응계획과 미세먼지관리 종합계획 등의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22년 4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1차년도 사업을 종료하였습니다.

개발 플랫폼 예시 화면 (2024년 12월 기준)

2022년,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 1단계 1차년

화학물질로 인한 화학사고 발생 시 사고지역 주변 거주민에 대한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위치정보 기반 화학사고 통합 위해성 평가 플랫폼 개발”과제의 1단계 1차년도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사업기간은 2022년 4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9개월에 걸처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