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제공 플랫폼 개발 1차년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1단계 1차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환경전문 벤처기업
환경위험시설 취약지역 및 환경보건상태 평가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1단계 1차년 사업을 마쳤습니다. 2021년 4월부터 24년 12월까지, 45개월에 걸친 사업입니다. 플랫폼(eHeSAP) 외에 특허등록 1건(출원 2건)과 프로그램 저작권, 13건의 GIS DB…
농축산분야 활동도 자료와 배출계수, 인벤토리 구축 관리를 위한 DB 플랫폼 구축 연구와 개발을 마쳤습니다.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원조사 및 배출계수 개발, 고도화 사업을 마쳤습니다.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폐스티로폼 부표의 생산에서 처리까지 전(全) 단계별 관리를 통해 스티로폼 부표의 해양 유입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깨끗한 해양환경을 조성하고 생태계 보호를 위한 시스템 구축하였습니다.
국내 자료와 대기, 감염병 인자별 건강영향을 기초지자체 단위로 평가하여 정책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형 건강영향 및 취약성 평가도구를 개발
폐어구 자율회수 지원 시범사업은 조업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어구(어망)를 어업인이 자발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관리 기반의 회수체계 구축과 시범지역 적용 폐어구 관리 프로토타입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당사에서 개발한 ‘토양오염사고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특허를 등록했습니다.
EDCs 통합위해관리를 위한 한국형 환경 및 생태 유해성 평가 기술 개발 사업을 완료 했습니다.
특정대기 유해물질 배출원조사 및 배출계수 개발 사업을 마쳤습니다.